신청 방법
 
다운로드
 
자격 조건
 
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

별복주의 육아&아빠 수업

프로필사진

별복주의 육아&아빠 수업

검색하기 폼
  • 분류 전체보기 (189) N
    • 마음이 느슨해지는 시간 (112) N
      • 라디오 에세이 (112) N
    • ............................. (0)
    • 임신.출산.육아 공부 (76)
      • 임신&출산 공부 (48)
      • 육아 공부 (26)
    • ............................. (0)
    • 건강과 웰빙 (1)
      • 건강&다이어트 운동 정보 (0)
      • 식단 및 레시피 정보 (1)
    • ............................. (0)
  • 방명록
loading
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
👣 첫돌 이후 두돌까지 아기 성장 발달 과정 (13~24개월)

첫돌을 지난 아이는 ‘신생아’에서 ‘아이’가 되어가는 놀라운 변화를 겪습니다. 이제는 걷고, 말하고, 웃고 울며 자신의 감정을 뚜렷이 표현하기 시작하죠. 이 시기는 단순히 성장 수치가 아닌, 자아 형성과 사회성 발달의 핵심 시기입니다. 이 글에서는 13~24개월 아기의 월령별 성장 지표, 발달 특징, 부모가 확인해야 할 포인트를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. 📌 월령별 아기 발달표 (13~24개월)월령신체 지표 (평균)주요 발달 특징13~14개월키 약 76~78cm / 체중 10kg- 혼자 걷기 가능- 사물에 이름 붙이기 시작- “주세요”, “아니야” 등 단어 사용15~16개월키 약 79cm / 체중 10.5kg- 간단한 지시 이해 (“공 줘” 등)- 손가락으로 사물 가리킴- 던지고 잡는 놀이 즐김17~18개..

임신.출산.육아 공부/육아 공부 2025. 8. 26. 22:20
👶 아기 첫 돌까지 성장 발달 과정 완전정리 (0~12개월)

아기의 첫 1년은 하루하루가 기적입니다. 신생아 시절의 미세한 움직임부터, 첫 걸음마까지 매 순간이 성장의 연속인데요. 이 글에서는 1~12개월까지 아기의 성장 발달 특징을 월령별로 정리하여 평균 키와 몸무게, 주요 발달 이슈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육아를 처음 시작하는 부모님, 첫 돌을 준비 중인 분들께 꼭 필요한 성장표입니다.📌 월령별 아기 성장 발달표 (0~12개월)월령성장 지표 (평균)주요 발달 특징0~1개월키 약 50cm / 체중 3.3kg- 모로반사, 빨기 반사 활발- 초점 맞추기 시작 (거리 약 20~30cm)- 수면 시간 길고, 주야 구분 없음2개월키 약 53cm / 체중 4.5kg- 사회적 미소 시작 😊- 사람 얼굴 주시 가능- 짧게 목 들기 가능3~4개월키 약 58cm / 체중 6k..

임신.출산.육아 공부/육아 공부 2025. 8. 25. 23:56
👶 아기 성장과정 중 반드시 알아야 할 월령별 주요 이슈

우리 아기는 언제 목을 가눌까요? 언제 뒤집고, 언제 걷게 될까요?이 글에서는 아기의 성장 발달 과정 중 중요한 시기별 이슈를 월령별로 정리해 드립니다. 📌 월령별 주요 발달 이슈 한눈에 보기 월령주요 발달 이슈설명0~1개월신생아 반사모로반사, 빠는 반사 등 생존반사 중심. 눈에 초점 맞추기 시작.2개월사회적 미소사람을 보고 웃기 시작. 엎드렸을 때 목을 살짝 듦.3~4개월목 가누기 완성엎드렸을 때 머리 들기 가능. 손을 바라보며 입에 가져가기 시작.5~6개월뒤집기 시작앞뒤로 뒤집기 가능. 장난감을 양손으로 잡고 놀이 시작.6~7개월앉기 시도 & 이유식보조가 있으면 앉기 가능. 이유식 시작 시점.8~9개월기기 시작배밀이나 네 발로 기기 가능. 낯가림이 심해짐.10~11개월붙잡고 서기 & 옹알이가구 잡고..

임신.출산.육아 공부/육아 공부 2025. 8. 15. 17:00
이전 1 다음
이전 다음

티스토리툴바

이메일: help@abaeksite.com | 운영자 : 아로스
제작 : 아로스
Copyrights © 2022 All Rights Reserved by (주)아백.

※ 해당 웹사이트는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, 금융 상품 판매 및 중개의 목적이 아닌 정보만 전달합니다. 또한, 어떠한 지적재산권 또한 침해하지 않고 있음을 명시합니다. 조회, 신청 및 다운로드와 같은 편의 서비스에 관한 내용은 관련 처리기관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